2013년 우수국산캐릭터상품개발지원 사업공고- [한국콘텐츠진흥원]
이 름 | 사무국 ![]() |
작 성 일 | 2013-03-16 |
---|
한국콘텐츠진흥원은 『2013년 우수 국산캐릭터상품 개발지원 사업』 공고를 아래와 같이 시행하오니 적극적인 관심과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.
1. 사업목적
o 국산 캐릭터 라이선싱 확대 및 글로벌 시장진출 기반마련
o 다양한 분야의 체계적 지원을 통한 국내 캐릭터산업 활성화
2. 지원내용 및 규모
① 글로벌 캐릭터 상품개발 지원
지원규모 | 과제당 200백만원 이내, 3개 내외 과제 지원 | |
---|---|---|
지원조건 | - 글로벌 시장에 진출 가능한 캐릭터에 대하여 해외 판매용으로 기획된 글로벌 캐릭터상품 개발 비용 일부 지원 - 선정과제는 협약기간 내 상품개발을 완료하고, 상품을 글로벌 시장에 출시하여야 함 - 지원금은 주관기관 및 참여기관의 내부인건비로 편성할 수 없음 - 선정된 과제에 한하여 과제협약 직후 소비자조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반영하여야 함 - 지원과제는 2014년 5월 30일까지 수행을 완료하여야 함
| |
지원비율 | - 사업비의 70% 이내 지원 주관기관 및 참여기관은 총사업비 중 지원금을 제외한 사업자부담금30%이상을 현금으로 부담하여야 함 |
② 국내 우수캐릭터 상품 개발지원
지원규모 | 과제당 135백만원 이내, 13개 과제 내외 지원 | |
---|---|---|
지원조건 | <공통> - 지원분야별(생활속, 지역전통소재)로 국산캐릭터를 활용한 상품 개발비용 일부 지원 - 캐릭터 상품 홍보 및 프로모션비용 일부 지원 - 선정과제는 협약기관 내 상품개발을 완료하고, 상품을 시장에 출시하여야 함 - 선정된 과제에 한하여 과제협약 직후 소비자조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반영하여야 함 - 지원금은 주관기관 및 참여기관의 내부인건비로 편성할 수 없음 - 지원과제는 2014년 5월 30일까지 수행을 완료하여야 함
<생활속 캐릭터 상품 개발 지원> - 일반인이 접하기 쉬운 생활 속 캐릭터상품개발로 유아동에 편증된 캐릭터 상품을 다양한 연령/타겟으로 상품개발 <지역 전통소재 캐릭터 상품 지원> - 지역별 민화, 특산품, 역사 등의 전통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캐릭터 및 기존 지방 대표 캐릭터의 확산을 위한 상품개발 | |
지원비율 | - 사업비의 70% 이내 지원 주관기관 및 참여기관은 총사업비 중 지원금을 제외한 사업자부담금30%이상을 현금으로 부담하여야 함 |
3. 신청자격
o 국산캐릭터 창작, 개발, 제조, 유통사(컨소시엄 구성 가능)
o 신청 참여 제한대상
- 신청일 현재 사업자(주관기관 또는 참여기관)가 콘텐츠지원사업에서 지원금을 직접 교부받아 추진 중인 과제가 총 2개 과제인
경우. (단, 지원금이 5,000만원 이하인 경우는 과제수에서 제외)
- 신청일 현재 동일한 과제로(과제 목표와 산출물이 동일한 경우) 우리원의 지원사업에 기 선정되어 지원금을 직접 교부받은 경우
- 3개년 간 기 지원받은 누적금액과 신규신청금액의 합계액이 30억원을 초과하는 사업자인 경우
- 신청일 또는 이후 현재 국세 또는 지방세 체납사실이 있거나, 전담기관 관련 각종 협약 또는 계약 위반사실이 있는 사업자
(주관기관 또는 참여기관) 또는 대표자인 경우
-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제한 중이거나 신용거래 불량자 등 관련규정에서 정하는 제외대상자
4. 선정 및 지원절차
o 사업신청서 등 신청서류 접수 후, 서류평가, 질의응답평가, 종합심의를 통해 최종 선정
- 서류평가 : 사업신청서를 평가하여, 70점이상의 경우는 질의응답평가 기회 부여
- 질의응답평가 : 서류평가 통과 대상으로 질의응답평가를 실시하고, 70점 이상 의 경우는 종합심의 실시 (70점 미만 자동탈락)
※ 종합점수(100%) = 서류평가결과(40%) + 질의응답평가결과(60%)
- 종합심의 : 종합점수를 환산하여 70점 이상 중 예산 범위내에서 최종 선정 (사업비 조정 후 최종 지원금액 확정)
※ 평가 과정에서 필요시 추가자료 제출을 요청 할수 있음
o 평가기준
<글로벌 캐릭터 상품개발 지원>
구분 | 평가항목 | 평가점수 |
---|---|---|
서면 | ㅇ 기획성 - 상품에 대한 시장 분석이 되어있는가? - 캐릭터와 상품 기획이 조화로운가? | 20 |
ㅇ 상품성 - 캐릭터상품의 기존 상품들과 차별성과 독창성이 높은가? - 캐릭터의 특성이 잘 반영되어져 있으며, 타겟층(해외)에 적합한가? | 25 | |
o 시장성 - 시장진출을 위해 해외 유통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가? - 효과적인 홍보 계획이 제시되어 있는가? - 해외진출에 대한 계획 및 목표시장의 성공가능성이 제시되어 있는가? | 25 | |
o 제작능력 - 상품개발기획 경험이 있으며, 기획 능력이 있는가? - 해외공동개발, 제조, 유통 등 경험이 우수한가? - 참여인력의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는가? - 추진일정이 현실적이고 타당한가? | 20 | |
ㅇ 일자리 창출 - 일자리창출 계획이 있으며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한가? | 10 | |
합 계 | 100 | |
질의 | ㅇ 목표시장에 대한 이해도 - 목표시장 분석이 구체적이고 타당한가? - 유사 상품에 대한 분석이 되어 있는가? | 10 |
ㅇ 해외시장 진출 가능성 - 해외 목표시장에 대한 진출경험·전략이 있는가? - 해외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가? | 20 | |
ㅇ 추진계획의 현실성 - 글로벌 캐릭터상품에 대한 기획, 설계, 제작 등 개발계획이 구체적인가? - 국내외 공동개발, 해외유통 계약, 일정계획 등이 현실성이 있는가? - 상품제작에 필요한 지적재산권에 대한 권리가 확보되어 있는가? | 20 | |
ㅇ 마케팅.유통계획의 구체성 - 주목표시장과 타킷층에 적합한 마케팅, 홍보계획을 수립하였는가? - 캐릭터상품의 국내외 유통, 배급에 대한 현실적인 계획이 있는가? | 30 | |
ㅇ 예산의 적정성과 재원마련 가능성 - 현실적인 예산이 현실적이고 구체적인가? - 지원금 외 공동개발 등 국내외 재원마련이 타당한가? | 20 | |
합 계 | 100 |
<생활 속 캐릭터 상품개발 지원>
구분 | 평가항목 | 평가점수 |
---|---|---|
서면 | ㅇ 기획성 - 캐릭터 상품의 시장분석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있는가? - 주 타겟층에 맞게 상품 컨셉이 적절하게 기획되어 있는가? | 20 |
ㅇ 상품성 - 개발 상품이 유사 상품에 비해 차별성이 있는가? - 상품의 디자인이 캐릭터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가? - 캐릭터 상품이 대중적이고 독창성이 있는가? | 30 | |
o 시장성 - 개발, 유통에 대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제시하고 있는가? - 홍보·프로모션 계획이 구체적인가? | 25 | |
ㅇ 제작능력 - 상품개발의 추진일정이 체계적이고 타당한가? - 해당 인력과 재원이 적절하게 투입되어 있는가? - 캐릭터 지적재산권에 대한 권리가 확보되어 있는가? | 15 | |
ㅇ 일자리 창출 - 일자리창출 계획이 있으며 안정적인 운영이 가능한가? | 10 | |
합 계 | 100 | |
질의 | ㅇ 목표시장에 대한 이해도 - 주 타겟층에 대한 시장 분석을 파악하고 있는가? - 시장분석에 맞게 캐릭터 상품이 기획되어 있는가? | 20 |
ㅇ 시장진출 가능성 - 시장 진출에 대한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는가? - 상품 제작, 유통 등 사업 진행 경험이 있는가? | 25 | |
ㅇ 추진계획의 현실성 - 참여인력이 전문성을 갖추고 있는가? - 캐릭터 지적재산권에 대한 권리가 확보되어 있는가? - 단계별 추진일정이 적절히 계획되어 있는가? | 20 | |
ㅇ 마케팅·유통 계획 - 타겟층에 적합한 마케팅, 홍보계획이 있는가? - 상품 유통 및 배급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있는가? | 25 | |
ㅇ 예산의 적정성과 재원마련 가능성 - 세부 예산 계획이 단계에 맞게 적절하게 계획되어있는가? - 지원금 외 공동개발 등 재원마련이 타당한가? | 10 | |
합 계 | 100 |
<지역 전통소재 캐릭터상품 지원>
구분 | 평가항목 | 평가점수 |
---|---|---|
서면 | ㅇ 기획의도 - 캐릭터가 지역 전통소재를 기반으로 특성을 잘 살리고 있는가? - 목표 시장에 대한 분석이 제시되어 있는가? - 지역 내 주요 타켓 대상 및 트렌드를 반영한 캐릭터인가? | 15 |
ㅇ 지역 연계성 - 캐릭터를 활용한 상품의 확장성이 있는가? - 캐릭터를 통해 지역 홍보(인지도)를 극대화할 수 있는 요소가 있는가? - 해당 지역 지자체, 공공기관, 단체 등과의 유기성은 뛰어난가? | 25 | |
ㅇ 상품성 - 전통 소재 캐릭터와 상품이 조화롭게 기획되었는가? - 캐릭터 디자인 및 상품의 차별성이 제시되어 있는가? | 25 | |
ㅇ 제작능력 - 개발, 유통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제시되었는가? - 홍보·프로모션 등 추진계획이 구체적인가? - 해당 인력 및 재원 계획이 타당한가? | 20 | |
ㅇ 일자리 창출 - 일자리창출 계획이 있으며 안정적인 운영 및 현실성이 있는가? ※ 창출규모, 고용형태, 고용기간, 보수수준 등 | 10 | |
o 기타(가산점) - 개발하고자 하는 캐릭터의 해당지역 소재 기업인가? | 5 | |
합 계 | 100 | |
질의 | ㅇ 사업에 대한 이해도 - 지역 전통소재 캐릭터 개발에 대한 사업목적을 잘 파악하고 있는가? - 캐릭터가 지역 기반 시장에 대한 분석이 되어있는가? | 20 |
ㅇ 제작능력 - 지역 전통소재 캐릭터에 대한 개발 계획이 구체적이며 실현 가능한가? - 참여 인력의 상품 제작(유통)경험, 전문성 등이 있는가? - 지역 지자체, 공공기관, 단체 등과의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있는가? | 25 | |
ㅇ 마케팅·유통 계획 - 개발 캐릭터에 관한 마케팅, 홍보 계획이 제시되었는가? - 구체적인 상품 유통에 대해 제시하였는가? | 25 | |
ㅇ 추진일정 - 캐릭터의 기획, 설계, 제작, 홍보, 마케팅, 사업비조달 등 추진계획이 구체적이며 실현 가능한가? - 단계별 사업 세부 일정 계획이 타당한가? | 15 | |
ㅇ 예산의 적정성과 재원마련 가능성 - 현실적인 예산 집행계획과 투명성을 확보하고 있는가? - 지원금 외 재원마련을 위한 예산계획을 수립하고 있는가? | 15 | |
합 계 | 100 |
o 선정결과 : 한국콘텐츠진흥원의 홈페이지(http://www.kocca.kr) 공지사항에 게시하고 선정이 확정된 기업에 한하여 개별통보 합니다.
o 지원절차 : 선정된 기업에 대해 지원금 2회 분할 지급
- 1차 지원금 : 협약체결 후 확정된 지원금의 90% 지급
- 2차 지원금 : 중간평가 후 나머지 지원금 10% 지급
5. 기술료 징수
o <콘텐츠지원사업관리규칙 및 관련 지침>에 의거, 지원금의 15%(중소기업의 경우 10%)를 한도로, 협약기간 종료일 다음연도
부터 5년동안 매년 발생매출의 10%범위내에서 납부하여야 함
6. 신청서 접수
o 신청서 작성방법
- 신청서 표지를 제외하고 5쪽 이내로 작성
※ 신청서 표지는 회사인감 또는 개인인감을 날인하여 PDF 또는 JPG파일로 제출
※ 저작권 권리관계 증명서 사본 및 각종계약서 사본, 디자인 시안(또는 샘플)은 별도로 제출
- 공고문 하단에서 사업안내서를 다운로드하여 “사업신청서 작성 안내”에 따라 작성
- 별첨서류
① 개인정보수집·이용·제공 동의서 |
※ 번호 순서대로 한글 문서 또는 스캔하여 “별첨서류_주관기관.zip”으로 압축하여 제출
o 신청서 접수개요
- 접수기간 : 2013년 4월 10일(수) ~ 4월 16일(화) 15:00까지
- 접수방법 : 전산 접수
※ 진흥원 홈페이지(http://www.kocca.kr.) <2013 우수 국산캐릭터 상품 개발지원> 공고문 하단의 <과제신청> 버튼을 클릭 후 접수
※ 마감시간을 엄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o 문의처
- 주 소 : (121-904)서울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400(상암동 1602) 한국콘텐츠진흥원 13층 만화애니캐릭터팀
- 담당자 : 정하나 주임 ☎(02)1566-1114 / e-mail : lovehana@kocca.kr
김경숙 사원 ☎(02)1566-1114 / e-mail : rudtnr7992@kocca.kr
NO | 제목 | 작성자 | 등록일 |
---|---|---|---|
11 | 만화/애니/캐릭터 지원사업 설명회 개최, [한국콘텐츠진흥원] | 사무국 | 2013.03.19 |
10 | 제24회 중국 하얼빈 국제무역박람회 참가신청모집 [한국캐릭터협회] | 사무국 | 2013.03.19 |
» | 2013년 우수국산캐릭터상품개발지원 사업공고- [한국콘텐츠진흥원] | 사무국 | 2013.03.16 |
8 | 애니메이션/캐릭터/완구, 연합 워크샾 개최!! - [한국완구협회] | 사무국 | 2013.03.16 |
7 | e-mail「koreatoy07@naver.com」[한국완구협회] | 사무국 | 2013.03.16 |